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플라워 킬링 문

덤프버전 :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An Apple Original Film
플라워 킬링 문 (2023)
Killers of the Flower Moon
파일:플라워 킬링 문 포스터 1.jpg
북미 포스터 ▼
파일: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 포스터 2.jpg
장르범죄, 미스터리, 스릴러, 서부극, 드라마
감독마틴 스코세이지
각본마틴 스코세이지
에릭 로스
원작데이비드 그랜[1] - 논픽션 《플라워 문: 거대한 부패와 비열한 폭력 그리고 FBI의 탄생》
제작마리안 보워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마틴 스코세이지
댄 프리드킨
엠마 틸린저 코스코프
브래들리 토마스
아담 소머
닐스 줄
출연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제시 플레먼스
로버트 드 니로
존 리스고
릴리 글래드스톤
브랜든 프레이저
음악로비 로버트슨
편집델마 스쿤메이커
촬영로드리고 프리에토
미술잭 피스크[2]
의상재클린 웨스트[3]
음향필립 스탁턴
톰 플리쉬만
마크 우라노
토드 A. 메이틀랜드
제작사에페인 웨이 프로덕션[4]
애플 스튜디오스
임페레티브 엔터테인먼트
시켈리아 프로덕션[5]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마운트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독점 스트리밍Apple TV+
촬영 기간
개봉일파일:프랑스 국기.svg 2023년 5월 20일 (칸 영화제)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10월 20일[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0월 19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3년 10월 18일
화면비2.39:1 / 1.33:1
상영 타입2D | IMAX | Dolby Cinema
상영 시간206분 (3시간 25분 47초)
제작비2억 달러[7]
북미 박스오피스$67,238,555
월드 박스오피스$156,238,555 (2023년 12월 26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166,062명 (2023년 12월 2일 기준)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영상
5. 시놉시스
6. 줄거리
7. 등장인물
8. 사운드트랙
9. 평가
9.1. 평론가 평가
10. 흥행
11. 기타
12. 영향받은 작품들



1. 개요[편집]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잃어버린 도시 Z의 원작자로도 알려진 데이비드 그랜(David Grann)의 동명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한다.

1920년대 오클라호마를 배경으로, 석유 시추와 관련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오세이지족의 사람들이 살해당하는 사건 오세이지족 연쇄살인 사건과 이를 수사하는 FBI의 전신 BOI에 대한 내용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2. 개봉 전 정보[편집]


  • 2016년 J. J. 에이브럼스 감독과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대략 5백만 달러에 원작 소설 판권을 구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영화화 이야기가 들려왔다. 에이브람스 감독이 연출을 맡으며, 포레스트 검프의 각본을 담당했던 에릭 로스가 각본을 맡는다고 한다. #

  • 2017년 7월 14일, 마틴 스코세이지가 연출을 맡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연은 디카프리오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이며, 아이리시맨의 제작이 끝난 이후 촬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19년 7월 29일, 로버트 드 니로가 출연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같은 날 스코세이지 감독이 오클라호마에서 직접 로케이션을 답사하는 모습을 인스타그램에 게시하였다. #

  • 파라마운트 픽처스 단독 배급 예정이었으나 제작비가 너무 늘어나 Apple TV+와 공동으로 제작, 배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디카프리오와 드 니로 두 주연배우의 출연료에만 4천만 달러 가까이 들어가는데, 영화의 스케일이 크다 보니 결국 예산이 2억 달러로 올라 혼자서는 감당이 안 됐기 때문.[9] 전작 아이리시맨의 제작비를 지원해주었던 넷플릭스도 배급권 입찰에 참여했지만 넷플릭스 측에서도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버리는 바람에[10] 최종적으로는 Apple과 계약하기로 했다. #

  • 극장 배급은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그대로 담당해 스트리밍과 극장 개봉이 모두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

  • 각본가 에릭 로스와 디카프리오가 각본을 두고 싸운 적이 있다고 한다.# 에릭 로스가 처음 쓴 각본에는 디카프리오가 FBI 요원인 톰 화이트 역으로 나올 예정이었지만 디카프리오는 로버트 드 니로의 조카 어니스트 버크하트 역을 맡고 싶어 에릭 로스에게 각본 수정을 요구했다. 이것 때문에 디카프리오와 싸웠고 논쟁 끝에 디카프리오, 각본가 둘 다 절반씩 양보하며 각본을 수정했다. 일단 디카프리오는 어니스트 역이다.

  • 디카프리오가 영화의 첫 번째 스틸을 인스타그램에 공개했다. #

  • 2021년 9월 17일, 공식 촬영이 종료되었다.


  • 본래 한국에서도 원제인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으로 동일한 이름을 가지고 개봉할 예정이었지만 메인 예고편이 공개되고 나서 영화 이름이 뜬금없이 플라워 킬링 문으로 변경되었다. 원작소설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작중 등장하는 인디언 부족이 5월을 꽃을 죽이는 달(Flower Killing Moon)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원제의 의미를 생각하면 그 의미를 해치는 제목 변경일 수도 있다.[참조] 참고로 원작소설의 국내 출간명은 플라워 문이다. 원제 Killers of The Flower Moon은 오세이지족 출신 엘리스 퍼션이 2009년에 발표한 시 '위기이'의 구절에서 따왔다. 영화 개봉 전 진행된 GV에서도 제목 변경에 대한 여론이 매우 안 좋았다.

  • 제한개봉 대신 전 세계 동시 극장 개봉으로 변경되었다. #


3. 포스터[편집]


파일: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 포스터 2.jpg
파일: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 포스터 1.jpg
극장 개봉 포스터
한국 포스터 ▼

파일:플라워 킬링 문 포스터 1.jpg
파일:플라워 킬링 문 포스터 2.jpg
파일:플라워 킬링 문 포스터 3.jpg
극장 개봉 포스터


파일: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 IMAX 포스터.jpg
파일:IMG_8711.png
IMAX 포스터Dolby Cinema 포스터


4. 예고편[편집]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BGM: The Halluci Nation - Stadium Pow Wow

스페셜 예고편

파이널 예고편


4.1. 기타 영상[편집]


압도적 마스터피스 영상

가장 혁신적인 걸작 영상

굶주린 늑대들

제작 비하인드 영상

캐릭터 코멘터리 '헤일' 편

오일머니를 둘러싼 비극

캐릭터 코멘터리 '몰리' 편

캐릭터 코멘터리 '어니스트' 편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다

오세이지족의 도움과 축복

자매의 유대


5. 시놉시스[편집]


20세기 초 석유로 갑작스럽게 막대한 부를 거머쥐게 된 오세이지 부족 원주민들에게 벌어진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6. 줄거리[편집]


'플라워 킬링 문'은 진정한 사랑과 말할 수 없는 배신이 교차하는 서부 범죄극으로 '어니스트 버크하트'(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몰리 카일리'(릴리 글래드스턴)의 이루어질 수 없는 로맨스를 중심으로 오세이지족에게 벌어진 끔찍한 비극 실화를 그려낸다. 데이비드 그랜 작가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아카데미를 수상한 거장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이 연출과 각본을 맡았으며, 에릭 로스가 각본에 함께 참여했다.

시네 21 줄거리 요약



7. 등장인물[편집]




8. 사운드트랙[편집]


Killers of the Flower Moon (Soundtrack from the Apple Original Film)
파일:플라워킬링문 사운드트랙.jpg
발매일: 2023.10.20.
트랙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Intro (The Sacred Pipe)로비 로버트슨0: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Osage Oil Boom2: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My Land...My Land2: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Heartbeat Theme / Ni-U-Kon-Ska3: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They Don’t Live Long2: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The Wedding2: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Tribal Council1:1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Reign of Terror2:5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Insulin Train2: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Tulsa Massacre Newsreel2:2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Shame on Us2:4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Too Much Dynamite2:5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Not if it’s Illegal2:4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Salvation Adagio3:1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Still Standing3: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Tupelo BluesRayna Gellert, Kieran Kane,
Philip Jamison, David Mansfield
0: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Livery Stable BluesVince Giordano, Nighthawks0:38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The Gallop, Chasse, Pas de BoureeAdam Nielsen0:37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Metropolis (A Blue Fantasie)Vince Giordano, Nighthawks2: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MollieAndy Stein0: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Wahzhazhe (A Song for My People)Osage Tribal Singers6:25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
스코어
X.XX / 5.00
비평 별점
X.XX / 5.00
관객 별점
X.XX / 5.00
]]
||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별점 없음 / 10




파일:movies_r_34_2x.png
별점 없음 / 5.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4.0 / 5.0




파일:coco 로고.png
만족도 없음%




파일:Eiga 가로형 로고.png
별점 없음 / 5.0



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
평점 없음 / 1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없음 / 10





파일:야후 키모.png
별점 없음 / 5.0




파일:@무비스 로고.gif
별점 없음 / 1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없음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97.36% 별점 4.0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
기자·평론가
? / 10
관람객
8.30 / 10
네티즌
없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플라워 킬링 문+평점|

기자·평론가
? / 10
관람객
8.30 / 10
네티즌
없음 / 10
]]
평점 8.30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7 / 10

















전반적으로 호평이다. 호불호 요소로는 3시간 26분이라는 러닝 타임[11]이 있다. 영화 특유의 호흡이 긴 편이며, 감독의 개성이 많이 들어갔다.[12] 시사회의 평가 역시 좋은 편으로, 공통적으로 마틴 스코세이지의 영화 이해도에 따라서 평이 갈린다는 평이 많다.

1920년대를 배경으로 오세이지 부족이 막대한 오일머니를 벌게되자, '헤일'(로버트 드 니로)을 중심으로 한 백인들이 이들을 하나씩 제거해 가며 부를 강탈해 가는 모습들을 다양한 장르 형태로 보여주며,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그 당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백인들의 만행을 고발하는 영화이다. 겉으로는 '오세이지족'을 위하지만, 실제로는 돈을 위해 죄의식 없이 그들을 죽이는 교묘한 악인의 욕망이 드러나면서 발생하는 서스펜스를 로버트 드 니로는 잘 소화해내고 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유약한 방조자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랑하는 가족들에 대한 죄의식에 고민하는 캐릭터 어니스트를 잘 연기하고 있으며, 어니스트를 사랑하지만 가족들의 계속되는 죽음에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오세이지족 여인 몰리의 무기력한 모습의 연기를 실감나게 연기한 릴리 글래드스턴의 연기도 눈에 띈다.

2억 달러의 제작비를 투입한만큼 당시의 시대상황을 보여준 미장센은 뛰어나지만 영화 자체의 분량이나 호흡도 길고, 하나의 신에 할당되는 시간도 길어 요즘 관객의 템포로는 몰입감을 갖기 어려운 면이 있고, 영화 내용부터가 초반부터 헤일이 원주민들을 이용하는 악행의 중심이라는 것을 쉽게 판단할 수 있어 긴장감과 궁금증을 유발시키지 못하는 점 때문에 좀 지루할 수도 있는 부분은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는 하나의 극 영화라고 보기보단 단편 드라마를 연이어 본다는 감성으로 보는게 더 편할 수도 있다.


9.1. 평론가 평가[편집]


탐구와 각성, 시네마틱, 쓸쓸한 안녕

- 박평식 (★★★☆)


대체역사 없이도 가차 없이 백인의 만행을 조롱하는 시네마 호걸

- 정재현 (★★★★)


갱스터에 이어, 노년의 스코세이지가 서부 웨스턴을 소환해야만 했던 이유

- 임수연 (★★★★)


지구 반대편에서도 묻는다. 지금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이우빈 (★★★★)


몇몇 몹신은 거장의 영화답지만

- 이용철 (★★★)


수많은 액체 위로 흐르는 돈을 향한 욕망

- 오진우 (★★★☆)


한순간도 흔들리지 않는 거장의 부고 낭독회

- 김철홍 (★★★★)


미국의 원죄를 재각인하는 불길하리만치 풍성한 솜씨

- 김소미 (★★★★)


진창에 빠진 채 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자의 비밀과 거짓말.

- 이동진 (★★★★)



10.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파일:세계 지도.svg 전 세계2023년 10월 20일$-2023년 10월 20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2023년 10월 20일$-2023년 10월 20일
영국2023년 10월 18일$-2023년 10월 18일
2023년 10월 19일$-2023년 10월 19일
개봉 첫주에 4,400만 달러를 벌어들여[13] 역대 마틴 스코세이지 영화 중 두 번째로 높은 오프닝 흥행을 기록했다. 배우조합 파업으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로버트 드 니로 등 출연진이 일절 홍보 활동을 하지 않은 점 등을 생각하면 매우 고무적이다.


10.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164,324명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656명656명미집계5,904,000원5,904,000원
1주차2023-10-19. 1일차(목)12,988명-명2위118,872,176원-원
2023-10-20. 2일차(금)12,088명2위116,965,645원
2023-10-21. 3일차(토)24,508명2위239,556,736원
2023-10-22. 4일차(일)19,648명2위192,827,733원
2023-10-23. 5일차(월)8,709명2위79,637,510원
2023-10-24. 6일차(화)9,481명2위86,415,284원
2023-10-25. 7일차(수)7,228명4위55,233,296원
2주차2023-10-26. 8일차(목)4,591명41,674명5위41,767,516원395,862,192원
2023-10-27. 9일차(금)6,168명4위59,120,037원
2023-10-28. 10일차(토)10,959명4위107,826,293원
2023-10-29. 11일차(일)9,662명4위94,370,224원
2023-10-30. 12일차(월)3,859명4위35,205,106원
2023-10-31. 13일차(화)3,912명4위34,339,589원
2023-11-01. 14일차(수)2,523명9위23,233,427원
3주차2023-11-02. 15일차(목)2,057명19,057명10위18,122,236원182,704,895원
2023-11-03. 16일차(금)3,200명8위29,528,120원
2023-11-04. 17일차(토)4,949명6위49,629,042원
2023-11-05. 18일차(일)4,613명8위46,151,624원
2023-11-06. 19일차(월)1,837명6위17,109,048원
2023-11-07. 20일차(화)1,631명9위15,048,801원
2023-11-08. 21일차(수)770명13위7,116,024원
4주차2023-11-09. 22일차(목)791명-명16위7,518,090원-원
2023-11-10. 23일차(금)1,142명12위10,937,006원
2023-11-11. 24일차(토)2,040명10위20,439,464원
2023-11-12. 25일차(일)1,730명10위16,855,962원
2023-11-13. 26일차(월)663명12위6,209,056원
2023-11-14. 27일차(화)815명11위7,735,641원
2023-11-15. 28일차(수)-명-위-원





10.2. 북미[편집]








10.3. 독일[편집]


독일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41주차2023년 42주차2023년 43주차
테일러 스위프트: 디 에라스 투어플라워 킬링 문 프레디의 피자가게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독일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10.4. 스페인[편집]


스페인 흥행 1위 영화
2023년 41주차2023년 42주차2023년 43주차
테일러 스위프트: 디 에라스 투어플라워 킬링 문 프레디의 피자가게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스페인 주말 흥행 집계 기준


10.5. 홍콩[편집]


홍콩 흥행 1위 영화
2023년 41주차2023년 42주차2023년 43주차
My Heavenly City플라워 킬링 문 미정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10.6. 오스트레일리아[편집]


오스트레일리아 흥행 1위 영화
2023년 41주차2023년 42주차2023년 43주차
엑소시스트: 믿는 자플라워 킬링 문 프레디의 피자가게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11. 기타[편집]


오세이지족의 도움과 축복



12. 영향받은 작품들[편집]


▲ 마틴 스콜세지는 '플라워 킬링 문'의 킬러들에게 영감을 준 영화에 출연했다




[1] 잃어버린 도시 Z의 원작을 쓴 것으로도 유명하다.[2] <황무지>, <천국의 나날들>, <씬 레드 라인>, <멀홀랜드 드라이브>, <데어 윌 비 블러드>, <마스터>,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등의 미술을 맡은 미술감독.[3] <퀼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 등의 의상을 맡은 의상감독.[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제작사.[5] 이탈리아 영화 제작사[6] 10월 6일에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극장 개봉을 하고 20일에 확장 개봉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전세계 개봉으로 변경되었다.[7] 이중 4분의 1은 감독과 두 주연 배우의 개런티에 들어갔다. 스콜세지가 2천만 달러, 디카프리오와 드 니로가 각각 2천만 달러와 1천 5백만 달러를 받았다.[8] 등급분류 결정내용: 청부 살인, 약물 중독, 인종차별 등을 다루고 있는 주제의 수위가 높고, 주먹질하는 장면, 뺨을 때리는 장면, 총을 쏘거나 칼로 찌르는 장면, 물가에 쓰러져 죽은 사람, 시신 묘사, 톱으로 시신의 머리를 잘라 부검하는 장면, 폭발로 잘린 손에 대한 묘사 등 심리적 불안감을 주는 장면 등 폭력성 및 공포의 수위가 높고 구체적으로 표현된 청소년관람불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
[9] 거기에 더해서 마틴 스코세이지가 감독으로 합류한 후 기존의 각본을 수정하면서 영화가 덜 상업적으로 바뀌었는데, 이에 대해 파라마운트는 적잖은 불만을 가졌다고 하며, 또한 파라마운트는 내심 스코세이지가 배급사의 변경 없이 스스로 고집을 꺾고 제작비를 낮춰줄 것을 기대하면서 그에게 엄포를 놓았지만 Apple이 협상 테이블에 뛰어들면서 계획이 틀어졌다고 한다. #[10] 제작비 2억 달러는 할리우드에서도 텐트폴 영화를 제외하고는 찾기 힘들다. 특히나 최근 들어 스코세이지의 작품이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더더욱[참조] 불안할 정도로 커다란 달 아래에서 코요테들이 울부짖는 5월이 되면 자주달개비, 노랑데이지처럼 키가 좀 더 큰 식물들이 작은 꽃들 위로 슬금슬금 번지면서 그들에게서 빛과 물을 훔쳐가기 시작한다. 작은 꽃들의 목이 부러지고 꽃잎들은 팔랑팔랑 날아간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땅속에 묻힌다. 그래서 오세이지 인디언들은 5월을 '꽃을 죽이는 달(Flower Killing Moon)'의 시기라고 부른다.[11] 이는 지난 8월에 개봉한 오펜하이머(3시간), 작년 12월에 개봉한 아바타: 물의 길(3시간 12분), 그리고 본작의 주연 배우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자신의 이름과 얼굴을 알린 타이타닉(영화)(3시간 15분), 로버트 드 니로의 대표작 중 하나인 The Godfather Part II(3시간 22분)보다도 시간이 조금 더 길고, 감독의 전작 아이리시맨보다 조금 더 낮은 수치이다.[12] 전작 아이리시맨처럼 러닝 타임도 길고(아이리시맨: 3시간 29분/플라워 킬링 문: 3시간 26분), 일부 다큐멘터리적 요소가 들어가 있다.[13] 북미에서 2,300만, 해외에서 2,100만을 벌었다.[14] 마지막 7일차에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용감한 시민〉 등이 개봉하기는 하나 이들은 2주 차 영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15] 타 작품들은 상영관의 2배 정도의 상영횟수를 기록한 것에 비해 〈플라워 킬링 문〉은 2배를 하회하는 상영횟수를 기록했다.[16] 최근 개봉연도 순으로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 28%, 〈셔터 아일랜드〉 - 45%, 〈디파티드〉 - 29%, 〈에비에이터〉 - 34%, 〈갱스 오브 뉴욕〉 - 33%.[17] 최근 개봉연도 순으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51%,〈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 20%, 〈위대한 개츠비〉 - 52%, 〈장고: 분노의 추적자〉 - 34%, 〈J. 에드가〉 - 47%, 〈인셉션〉 - 32%.[18] 다만 드 니로와 디카프리오는 이미 영화 '이 소년의 삶(This Boy's Life)'과 '마빈의 방(Marvin's Room)' 두 작품에서 호흡을 맞춘 적이 있다.[19] 릴리 글래드스턴은 블랙피트족과 네즈퍼스족 출신이다.[20] 마틴 스코세이지는 이미 칸에서 황금종려상과 감독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21] 2020년대 초반 기준 세계에서 가장 1인당 gdp가 높은 스위스, 룩셈부르크가 각각 10만 달러와 13만 달러다